kU 문화유산 > 건국대명소

본문 바로가기

HOME > 건국대명소
  • kU 문화유산

본문

  • 상세정보
  • 주변명소
  • 리뷰

조상의 얼과 문화 향기 가득한

우리의 소중한 자산


ku1

가을빛이 가득한 교정. 여름 햇살의 강렬함을 뒤로 하고 한가로이 캠퍼스를 거닐다보면 우리 역사의 오래된 기억을 만날 수 있다. 삼각지 앞에 서 있는 고풍스러우면서도 현대적인 붉은 벽돌의 건물은 푸른 수목에 둘러싸여 더욱 신비스럽다. 공과대학과 문과대학을 양쪽에 끼고 그 샛길로 들어서 건대부고 쪽으로 향하다보면 경복궁 등의 고궁에나 가야 볼 수 있는 한옥 한 채를 만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박물관 안에는 조선시대의 옛 이야기가 숨겨져 있는 고서를 만날 수도 있다. 건국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알고도 지나치고 모르고도 지나쳤던 교내의 진귀한 문화재에 돋보기를 들이대 보자.

 


박물관 앞 삼각지, 건국대학교의 상징인 황소상이 힘차게 서있는 널찍한 잔디밭과 일감호를 양옆에 끼고 삼각형 모양을 그리고 있는 그곳이 바로 장한벌 교통의 맥이다. 그러나 이곳을 지날 때면 항상 무언가 아쉬움이 남는다. 도서관으로 가는 오르막길 옆에 위치한 붉은 벽돌건물 때문. 직접 올라가 보고는 싶지만 박물관을 향한 계단은 낯설기만 하다. 하지만 새로 변경된 UI가 박물관을 상징으로 삼고 있으니 우리 학교의 모태임은 분명한데….


ku2

상허기념관(현 박물관) … 서북학회의 기억을 찾아


건물에 들어가자마자 보이는 건 상허 유석창 박사의 흉상이다. 우리대학과 민중병원 설립을 통해 당시 일제의 압박과 분단의 설움을 겪고 있던 민족의 아픔을 다독이려 했던 인물. 독립운동가인 아버지 일우(一憂) 유승균 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자란 그는 우리 민족의 건강과 교육과 식량을 지키기 위해 일생을 바쳤다. 우리의 주식인 쌀을 지키기 위해 농촌 부흥운동을 했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민중병원의 시초인 ‘사회영중앙실비진료원’을 세웠으며, 분단의 위기에서 나라를 바로 세울 젊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건국의숙’을 건립했다. 바로 이 ‘건국의숙’이 조선정치학관에서 정치대학을 거쳐 건국대학교로 이어지는 것이다. 당시 종로구 낙원동에 위치했던 건국의숙은 85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면서 ‘상허기념관’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건물은 조선정치학관으로 쓰이기 이전에도 한국근현대사에 기념적으로 기릴만한 활동이 펼쳐졌던 곳이다. 일제 식민지하에서는 ‘서북학회’의 독립운동 총사무소로 쓰이면서 민중계몽운동, 민족실업진흥운동 등 항일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서북학회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해체된 이후에는 보성전문학교, 협성학교 등 많은 민족학교들의 거점이 되었으니, 한국근현대사의 산실임을 기려 2003년 6월에는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었다. 


박물관 전시유물들…「동국정운」과 「율곡선생남매분재기」등


ku3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은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지는 한국사의 흐름을 보여준다. 구석기시대의 각종 주먹도끼와 토기, 소박하고 단아하면서도 가지각색의 모양과 빛깔을 한 조선시대의 떡살과 백자, 사극에서나 볼 수 있는 노리개, 붓걸이, 경대 등 흥미로운 볼거리가 가득하다. 그러나 단연 눈에 띄는 것은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동국정운’과 ‘율곡선생남매분재기’, ‘동국정운’은 ‘훈민정음’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높이 평가되는 국보로서,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직후 우리나라 최초로 한자음을 우리 음으로 표기한 책이란다. 훈민정음이 제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백성들 사이에 그 음이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던지,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동국정운>을 편찬함으로써 한글의 통일된 표준음 정착을 꾀하였다. 본래는 1940년 경북 안동에서 제1권과 제6권만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4권의 책이 발견되지 않아 연구에 많은 지장이 있던 상황이었는데 건국대에서 1972년 이를 발견하여 학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현재 건국대학교 박물관에 6권 전질이 소장되어 있으며 국보 142호로 지정되어 있다. 


ku4


동국정운이 놓여있는 선반 위엔 ‘율곡선생남매분재기’가 걸려있다. 이것은 율곡 이이선생의 아버지 사후에 자손들이 모여 재산을 분배한 내용을 담은 것인데, 놀라운 것은 조선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시집간 자매를 포함한 4남 3매가 재산을 균등히 분배했다는 점이다.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 시집간 자매에게도 재산을 균등히 분배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니 이는 조선 후기 가부장적 사회 체제가 강화된 때의 사정과는 다른, 조선 전기의 사회 제도 및 경제제도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혼인한 딸에게는 그 재산 분배를 차등적으로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2000년대에 이는 가히 보물(제477호)로 지정될만한 고서이다. 




ku5

캠퍼스내 문화재들 … 정재문가와 5층 석탑 등


꼭 박물관 안에만 문화재가 보관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문과대와 공과대를 양쪽에 끼고 이과대를 향해 올라가다보면 알 수 없는 한옥 한 채가 나온다. 그곳을 지나다보면 누구나 한번쯤 고개를 갸웃하며 ‘학교에 웬 한옥인가’하고 생각해보았을 것이다. 이는 바로 ‘사직동 정재문가’. 헌종 별세 후에 당시 세도정치의 핵심인 안동 김씨가 그들의 허수아비 철종을 임금으로 세우면서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이하전을 모함해 죽였는데 그 이하전의 제사를 받드는 집이었다고 한다. 전통적인 기와양식과 서양풍의 창문틀이 소위 ‘퓨전’되어 있으니, 조선시대부터 일제시대에 이르는 한옥의 변천사를 한눈에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978년 종로구 사직동에 있을 때 도시계획에 따라 철거될 위기에 처하자 당시 우리대학 총장이었던 곽종원 박사가 지금의 위치로 이전․복원시켜 놓았다. 이 건물은 현재 서울시 민속자료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 


ku6

그밖에도 캠퍼스 네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있는데 그것들이 모이기까지는 동문들의 성원이 컸다. 박물관 2층에 전시되어 있는 300여점의 ‘떡살’은 우리대학 홍철화 동문이 오랜 시간 수집했던 것을 기증한 것. 떡을 만들 때 무늬를 내기 위해 사용했던 떡살은 국화무늬, 빗살무늬, 격자무늬 등 갖가지 모양과 색깔을 하고 있어 그 소박하고 단아한 아름다움이 빛을 발한다. 또한 박물관 바로 앞뜰에 투박하면서도 강인한 모양새로 자리잡고 있는 5층 석탑은 우리대학 정삼태 동문이 기증한 것. 이는 고려시대 것으로 일본인이 가져가려고 하는 것을 정 동문이 모든 경비를 물고 사들였고 그의 자손들이 “평소 아버님의 뜻이었다.”며 기증했다. 


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지키기 위해 애썼던 상허선생의 뜻에 따라 건국대학교를 거쳐 간 동문들이 발굴, 기증한 문화재들은 박물관에 소중하게 소장되어 있다.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대학을 만들고 지켜가는 힘이 되는 것이 아닐까. 캠퍼스 곳곳에 잠들어있는 그 정신은 단순한 아름다움 이상의 기품을 간직하고 있는 듯하다. 


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지키기 위해 애썼던 상허선생의 뜻에 따라 건국대학교를 거쳐 간 동문들이 발굴, 기증한 문화재들은 박물관에 소중하게 소장되어 있다.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대학을 만들고 지켜가는 힘이 되는 것이 아닐까. 캠퍼스 곳곳에 잠들어있는 그 정신은 단순한 아름다움 이상의 기품을 간직하고 있는 듯하다. 




상허박물관(구 서북학회 회관)


1908년 도산 안창호 등이 민족계몽을 위해 지은 구 서북학회 회관. 서북학회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해체된 이후에는 보성전문학교, 협성학교 등 많은 민족학교들의 거점이 되었으니, 한국근현대사의 산실임을 기려 2003년 6월에는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었다. 낙원교사라 불리며 건국대학교의 모태가 되었던 이 건물은 85년 현재 건국대 캠퍼스내의 현재 위치로 이전되면서 ‘상허기념관’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ku7


유석창 박사 흉상


유석창 박사는 건국대학교와 민중병원 설립을 통해 당시 일제의 압박과 분단의 설움을 겪고 있던 민족의 아픔을 다독이려 했던 인물. 독립운동가인 아버지 일우(一憂) 유승균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자란 그는 우리 민족의 건강과 교육과 식량을 지키기 위해 일생을 바쳤다.






ku8

상허(常虛) 유석창(劉錫昶)박사 유품들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은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지는 한국사의 흐름을 보여준다. 구석기시대의 각종 주먹도끼와 토기, 소박하고 단아하면서도 가지각색의 모양과 빛깔을 한 조선시대의 떡살과 백자, 사극에서나 볼 수 있는 노리개, 붓걸이, 경대 등 흥미로운 볼거리가 가득하다. 




동국정운


‘동국정운’은 ‘훈민정음’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높이 평가되는 국보로서,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직후 우리나라 최초로 한자음을 우리 음으로 표기한 책. 훈민정음이 제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백성들 사이에 그 음이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던지,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동국정운>을 편찬함으로써 한글의 통일된 표준음 정착을 꾀하였다. 현재 건국대학교 박물관에 6권 전질이 소장되어 있으며 국보 142호로 지정되어 있다. 



율곡선생남매분재기


보물(제477호)로 지정된 이 고서는 율곡 이이선생의 아버지 사후에 자손들이 모여 재산을 분배한 내용을 담은 것인데, 조선 전기의 사회 제도 및 경제제도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사직동 정재문가


원래는 종로구 사직동 262-85번지에 있었다가 1979년 건국대학교 교정으로 이전됐다. 1900년대 건물로 추정되며 건평 36.66평의 평면이 'ㄱ'자 형의 집이다. 벽체, 창호 처리와 현관을 달아낸 수법 등으로 볼때 서양풍이나 일본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 구한말에서 일제 때까지의 우리 한옥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민속자료로서 가치가 있어 서울시 민속자료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시대 5층 석탑


건국대학교 박물관 뜰에는 고려시대 석탑 1기(基)가 서있다. 이 석탑은 원래 전북 군산 지역의 어느 없어진 절터에 있던 것으로 일제시대 한 일본인이 군산의 자기 집 뜰에 옮겨 놓았던 것이라 한다. 이를 정삼태 동문이 모든 경비를 물고 사들였고 그의 자손들이 “평소 아버님의 뜻이었다.”며 기증했다. 



ku9

홍문화 동문이 기증한 떡살 300여점


떡살이란 절편 등의 떡에 무늬를 찍을 수 있도록 만든 공예품이다. 대개 서민들은 나무로 떡살을 만들어 사용하였지만, 양반가나 돈 있는 집안에서는 도자기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나무로 된 것이든 도자기로 된 것이든 그 문양은 소박하면서도 다채로와 전통의 아름다움이 있다. 건국대학교 박물관에서는 1997년 동문인 홍철화 선생이 20여년간 개인적으로 애착을 가지고 수집했던 300점의 도자기 떡살을 기증한 일이 있어 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의 떡살 전시회>를 개최한 바 있다



ku10

조선시대의 민화들


민화는 일반적으로 사대부나 화원이 아닌, 민간의 이름없는 화가들이 일반 대중의 기호와 생활의 쓰임새에 맞게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 민화는 조상들의 소박하고 단순하며 진실한 삶의 면모를 담고 있다.

아직 업체 평가가 없습니다.






(63122)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8길 (성수동 2가)
광고문의 : (주)디플랜네트워크 Tel : 02-518-3470 FAX : 02-518-3478 사업자등록번호 : 1111
불건건신고 : 관리자(master@kufamily.co.kr) , 02-518-3430

Copyright©Ku Family, All rights reserved.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될 수 있습니다.

facebook instagram twitter